톰캣9을 사용하게 된다면 간단하게 설치하자만 저희 스프링부트 버전은 3.2.2 입니다
스프링은 6 버전 이후로는 톰캣9는 호환이 안 됩니다. 그 점 알아두세요
우선 콘솔에 접속해 주세요
압축 파일 다운로드
아카히브 톰켓에서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합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Ubuntu는 CLI 기반이기 때문에 이 또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내려 받아야 합니다
wget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10/v10.1.1/bin/apache-tomcat-10.1.1.tar.gz
명령어를 입력하시고 위 사진 처럼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압축 해제 및 폴더 이동
#디렉터리 확인 명령어
ls
를 입력하셔서 현재 디렉터리에 다운로드한 파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파일 압축 명령어
tar xvf apache-tomcat-10.1.1.tar.gz
를 입력하여 압축을 해제하여 주세요
다음으로는 추출된 파일을 다른 디렉터리로 이동 시켜야합니다.
💡참고 폴더가 없다면 생성해야 합니다 - 경로 찾아 보기 find /usr/share -type d - 폴더 생성하기 sudo mkdir /usr/share/ |
#파일 이동 명령어
sudo mv apache-tomcat-10.1.1 /usr/share/apache-tomcat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이동시킵니다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
cd /usr/share
ls
디렉터리를 이동하셔서 ls 를 입력하시면 위와 같이 표시가 되는데 apache-tomcat 폴더가 존재한다면 잘 이동 된 되었습니다
cd
를 입력하여 원래 디렉터리로 돌와주세요
사용자 생성 및 소유권 변경
다음으로 사용자를 생성해야 합니다
#사용자 계정 추가
sudo useradd -M -d /usr/share/apache-tomcat tomcat
#소유권 변경
sudo chown -R tomcat /usr/share/apache-tomcat
톰캣 구성 변경
다음으로 context.xml을 수정하여야 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하기: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sudo nano /usr/share/apache-tomcat/conf/context.xml
아래 처럼 사진 처럼 주석 처리하시거나
신뢰 할 수 있는 IP 주소를 따로 입력해주세요
처리 하셨다면 ctrl + x → y → enter를 입력하셔서 저장해주세요
<Valve className="org.apache.catalina.valves.RemoteAddrValve"
allow="127\.\d+\.\d+\.\d+|::1|0:0:0:0:0:0:0:1|IP주소" />
#편집기
sudo nano /usr/share/apache-tomcat/webapps/manager/META-INF/context.xml
sudo nano /usr/share/apache-tomcat/webapps/host-manager/META-INF/context.xml
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두 곳다 위와 같이 동일하게 처리해주세요
대시보드 보안 액세스
sudo nano /usr/share/apache-tomcat/conf/tomcat-users.xml
위 명령어를 입력하셔서 xml를 수정하여야 합니다.
표시된 부분의 주석을 해제하시고 password부분을 변경해주세요
예시
간단하게 asdf1234로 해줍니다 *실제로는 이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Systemd 서비스 구성
Tomcat 10의 Systemd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주세요
sudo nano /etc/systemd/system/tomcat.service
들어가시면 빈 화면일텐데 새로 작성하는거라 정상입니다.
아래 값들을 복사해서 붙여넣어주세요
[Unit]
Description=Tomcat
After=syslog.target network.target
[Service]
Type=forking
User=tomcat
Group=tomcat
Environment=JAVA_HOME=/usr/lib/jvm/java-21-amazon-corretto
Environment='JAVA_OPTS=-Djava.awt.headless=true'
Environment=CATALINA_HOME=/usr/share/apache-tomcat
Environment=CATALINA_BASE=/usr/share/apache-tomcat
Environment=CATALINA_PID=/usr/share/apache-tomcat/temp/tomcat.pid
ExecStart=/usr/share/apache-tomcat/bin/catalina.sh start
ExecStop=/usr/share/apache-tomcat/bin/catalina.sh stop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화면에서 우클릭 → 붙여 넣기 하시면 됩니다.
하셨다면 저장를 꼭 해주세요
톰캣 시작
위 과정을 잘 하셨다면 이제 톰캣은 시작해야합니다.
우선은 데몬을 리로드 해주어야 합니다
#Demon 리로드
sudo systemctl daemon-reload
#톰캣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tomcat
#시스템 부팅시 Tomcat 시작
sudo systemctl enable tomcat
#톰캣 상태 확
sudo systemctl status tomcat
이렇게 다 입력하셨다면 키가 안 눌러질텐데 그럴땐 ctrl+c를 눌러주세요
Active가 초록불이 들어와있다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습니다!
방화벽 관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8080 포트의 트래픽을 허용 시켜주세요
# 8080포트 트래픽 허용
sudo ufw allow 8080/tcp
그런 다음 aws Ligtsail 인스턴스로 돌아가셔서 8080포트의 규정을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Networking 탭을 클릭해주세요 클릭하신 다음 스크롤을 내리시면 IPv6 firewall 이라는 부분이 보이실겁니다.
여기서 Add rule를 클릭해주세요
8080를 입력하시고 Create를 클릭해주세요
위 사진처럼 추가 되셨다면 방화벽 설정은 끝났습니다.
접속 테스트
이 ip 주소 뒤에 :8080를 붙이셔서 접속해주세요
ex) 54.180.127.54:8080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면 톰캣이 정상적으로 구동 되었습니다!
'AWS Lightsa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nk app 수정 (0) | 2024.12.21 |
---|---|
Database 생성 및 연동 (0) | 2024.12.21 |
Java 설치 (0) | 2024.12.19 |
간단한 서버 설정 (0) | 2024.12.19 |
Ubuntu Instance 생성` (0) | 2024.12.19 |